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및 재발급 방법

by ming80 2025. 3. 19.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은 식품 및 위생 관련 업종에서 근무할 때 필수로 제출해야 하는 서류입니다. 예전에는 보건소 방문이 필수였지만, 이제는 온라인으로 보건증 발급 및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터넷 보건증 발급 방법, 발급 기간, 재발급 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보건증이란? 왜 필요한가?

"보건증은   건강진단결과서  라고도 합니다 "  식품 관련 업종 종사자가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입니다.
다음 업종에서는 보건증 제출이 필수적입니다.

식당, 카페, 편의점, 배달업 종사자
유치원, 어린이집 조리사
미용실, 피부관리사(일부 지자체에서 요구)
수산물 가공업, 축산물 제조업 종사자

💡 법적 근거: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품 관련 업종 종사자는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2. 인터넷 보건증 발급 방법 (온라인 발급 가능)

보건소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 인터넷으로 발급 가능

1️⃣ 보건소 방문 및 건강검진 받기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지참
  • 검진 비용: 3,000원 ~ 5,000원 (지역별 차이 있음)
  • 검사 항목: 결핵(X-ray 촬영), 장티푸스, 전염성 피부질환 검사
  • 검진 후 약 3~7일 소요

2️⃣ 온라인 발급 신청 (정부24 홈페이지)

  • 정부24 접속    
  • 검색창에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입력
  • 본인 인증(공동인증서, 네이버 인증서 등) 후 출력 가능
  • PDF 저장 가능

정부24 바로가기


💡 인터넷 발급이 불가능한 경우

  • 검진 후 7~10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
  • 검사 기록이 누락된 경우 (보건소에 문의 필요)

3. 보건증 발급 기간 및 수령 방법

검사 소요 기간: 3~7일 (보건소별로 다름)
온라인 발급 가능 시점: 검사 완료 후 최소 7일 이후
발급 유효 기간: 1년 (12개월)

📌 오프라인 수령 방법

  • 검사받은 보건소 직접 방문 후 수령 가능
  • 신분증 지참 필수

4. 보건증 재발급 방법 (인터넷 가능)

보건증을 분실했거나 추가로 필요할 경우, 인터넷으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인터넷 재발급 방법
1️⃣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2️⃣ 검색창에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입력
3️⃣ 본인 인증 후 PDF 다운로드 또는 프린트 출력

📌 유의사항:

  • **보건증 유효기간(1년)**이 지나면 재검진 후 재발급해야 합니다.
  • 타 지역 보건소에서 검진받은 경우, 일부 보건소는 재발급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5. 보건증 발급 비용 및 면제 대상

보건증 발급비용: 3,000원 ~ 5,000원 (보건소마다 다름)
무료 발급 대상:

  • 국가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증빙서류 제출 시 면제 가능)

📌 일반 병원에서도 보건증 발급이 가능한가?

  • 일반 병원에서는 발급 불가
  • 반드시 보건소에서 건강검진을 받아야 함

6. 보건증 없이 근무하면 벌금이 부과될까?

보건증 없이 근무하다 적발될 경우:

  • 개인: 최대 50만 원 벌금
  • 사업주: 최대 1,000만 원 과태료

정기적인 보건증 갱신 필수

  • 보건증 유효기간 1년
  • 유효기간 만료 전에 다시 검진받고 재발급 필요

7. 마무리: 인터넷 보건증 발급, 이렇게 하면 끝!

검진 후 7일 후정부24에서 온라인 발급 가능
유효기간 1년만료 전 갱신 필수
재발급은 인터넷으로 가능 (정부24)

👉 보건증이 필요하다면 미리 발급받아 두는 것이 좋습니다! 😊

 
 
 
 
 
반응형